4673 셀프 넘버

전체 코드

/* 생성자를 구하는 함수 */
function d(n) {
  let number = n;
  let result = n;

  for (let i = 0; i < n.toString().length; i++) {
    result += number % 10; // 각 자리수를 더한다. number = 123이라면 1 + 2 + 3
    number = Math.floor(number / 10); // 1의 자리 수 없애기. 계속 없애다가 모든 자리의 수를 순회하면 0의 값을 갖는다.
  }
  return result;
}

/* 생성자가 없는 셀프 넘버 구하기 */
function self() {
  const selfNum = new Array(10000);
  selfNum.fill(true);
  for (let i = 1; i <= 10000; i++) {
    selfNum[d(i)] = false;

    if (selfNum[i]) {
      console.log(i);
    }
  }
}
self();

생성자를 구하는 함수와 생성자가 없는 셀프 넘버를 구하는 함수, 두가지 단계로 구현했다.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자!

생성자를 구하는 함수

function d(n) {
  let number = n; // (1)
  let result = n; // (2)

  for (let i = 0; i < n.toString().length; i++) {
    // (3)
    result += number % 10; // (4)
    number = Math.floor(number / 10); // (5)
  }
  return result;
}

(1) number 변수는 함수의 인자(파라미터 n)로부터 받아온 값을 할당할 변수이다.

(2) result 변수는 인자로부터 받아온 값((파라미터 n)과 각 자리수의 값들을 합한 값을 할당할 변수이다. n이 75라고 할 때, 75 + 7 + 5 = 87 의 값을 갖는다.

(3) n의 자리수만큼 반복하는 반복문을 활용하는데, 여기서 number 타입을 문자열로 변환 후 length를 사용하면 n 자리수의 갯수를 받는다. n이 785 라면 n.toString().length은 3을 반환한다.

(4) number % 10은 각 자리 수를 더한다. n이 123이라면 123(초기값 n) + 1 + 2 + 3 을 연산한다.

(5) 반복문이 각 자리수를 순회할 때마다 1의자리 수를 없애는데, 계속 없애다가 모든 자리의 수를 순회하면 0의 값을 갖는다.

마지막은 총 합을 반환해야한다!

생성자가 없는 셀프 넘버 구하기

function self() {
  const selfNum = new Array(10000); // (1)
  selfNum.fill(true); // (2)
  for (let i = 1; i <= 10000; i++) {
    selfNum[d(i)] = false; // (3)

    if (selfNum[i]) {
      //(4)
      console.log(i);
    }
  }
}
self();

(1) 10000 개 정보를 담는 배열 selfNum을 생성했다.

(2) 배열의 모든 값을 true 로 채운다.

(3) 10000 번을 순회하는 반복문을 생성해 selfNum 의 인덱스로 생성자를 구하는 함수인 d()함수를 전달해 생성자가 있는 수의 인덱스를 false를 할당했다.

(4) selfNumi 인덱스가 true라면 출력한다!


함수 문제부터는 난이도가 높아졌다. 푸는 데 꽤 오래 걸렸고, 다른 분들의 풀이를 참고했다.

🔗 참고한 글